배송비 모듈 : 개념, 할인, 설정
1. 배송 서비스 주체에 따라서 달라지는 비용 주체
1) 배송을 입점 판매자가 직접 운영한다면?
- 드랍쉬핑, 업체배송
- 배송 서비스의 주체가 판매자이기 때문에 수수료 제외 없이 실비 정산 대상
- 고객에게는 과세로 영수증 발행, 입점 판매자에게는 실비 정산할 경우 세금 계산서 X
* 실비정산 = 돈을 건드려서는 안 됨
2) 배송을 플랫폼사가 직접 운영한다면?
- 풀필먼트, 배송대행
- 배송 서비스 주체가 플랫폼사이기 때문에 상품과 다르게 서비스 제공 주체로서 취득
- 배송 대행에 대한 서비스 비용은 주문결제 외에 별도로 정산
요즘에는 플랫폼사가 배송에 참여하기도 하는데
1) 운송주선업 : 플랫폼사가 택배사에게 물류를 전달
2) 3PL 사업 : 플랫폼사가 택배사인 것처럼 사업
3) 풀필먼트 : 창고-배송까지 일괄로 처리를 해주는 방식
이와 같은 경우, 프론트에서 고객에게 배송은 플랫폼사가 담당하고, 물건은 판매자가 제공한다는 고지를 해줘야 한다.
2. 배송비의 할인 정책 : 무조건 비용에 해당한다!
1) 배송비 조건부 할인
- 판매사 할인 정책으로 기준액(보통 할인 전 가격 기준) 이상 구매 시 무료 처리
ex) 3만 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 배송비 전액 무료/쿠폰
- 배송비 부과 단위대로 무료 처리, 발행사에 따라서 비용 처리 주체 다름
ex) 판매사가 무료로 해주거나 or 플랫폼사가 무료로 해주거나
3) 배송비 부분액 할인
실비정산 기준이기 때문에 합배송과 기준 허들이 없을 경우에는 처리 가능
cf) 배송비 할인권을 선판매한 후 실제 거래에서 발생한 돈에 대해서는 100% 비용 정산 처리하고
실제로는 사용액에 대해서 부가서비스 이용금액으로 상계 처리하는 방법으로 이용하는 경우 있음
3. 도서산간비 / 제주도 배송비
대부분의 배송비는 2500~3000원 선에 형성되어 있다. 편의점의 경우 더 비싸기도 한데 이렇게 금액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배송 물량이 많을수록 배송비 단가를 낮출 수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무료배송을 하는 곳은 그만큼 물량이 거대하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어느 정도의 손해를 보기는 할 것이다.)
백단에서 살펴보면 결제 금액에서 배송비는 '상품비 + 배송비 + 추가 배송비'로 배송비, 추가 배송비로 기준을 각각 가져간다. 이는 도서산간, 제주도는 추가 배송비를 무조건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처리를 쉽게 하기 위함이다.
쿠팡은 추가 배송비 절감을 위해 제주도에 거점을 마련해서 그곳에서 무료배송을 실시하고 있다고 한다.
4. 카페24의 배송비 상세
1) 설정고정배송비 사용
구매금액에 관계없이 설정된 배송비가 고정적으로 부과됩니다.
ex) 무조건 2500원
2) 구매금액에 따른 부과
구매금액이 기준금액 미만일 때 설정한 배송비가 부과되며, 기준금액 이상일 경우 무료배송으로 설정됩니다.(조건부 무료)
ex) 3만 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3만원 미만 구매 시 2500원
3) 구매 금액별 차등 배송료 사용
고객의 구매 금액별로 배송료 설정이 가능합니다. 마지막 단계의 입력 금액 이상 주문 시 배송비가 무료로 적용됩니다.
ex) 3만 원 이상 구매 시 3000원, 5만 원 이상 구매 시 2500원
4) 상품 무게별 차등 배송료 사용
고객의 구매 상품 무게별로 배송료 설정이 가능합니다. 마지막 단계의 입력 금액 이상 주문 시 배송비가 무료로 적용됩니다.
ex) 1~2kg 2500원, 3~4kg 4000원, 5kg 이상 6000원
5) 상품 수량별 차등 배송료 사용
고객의 구매 상품 수량별로 배송료 설정이 가능합니다. 마지막 단계의 입력금액 이상 주문시 배송비가 무료로 적용됩니다.
ex) 1개 구매 시 2500원, 2개 구매 시 3000원, 3개 구매 시 3500원
6) 상품 수량에 비례하여 배송료 부과
1개 주문 시 2500원, 2개 주문 시 5000원처럼 주문 상품 수량에 따라 배송비가 증가하도록 설정합니다.
이 경우, 상자도 구분되어 나가는 경우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