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용어(3)_물류 정보 시스템 : OMS, WMS, TMS, SCM
1. 물류 정보 시스템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LIS)
- 운송, 보관, 포장 등 전반적인 물류 과정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정보 시스템
- 물류의 전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처리하거나 통제하기 위해 구축된 시스템
- OMS(주문 관리 시스템), WMS(창고 관리 시스템), TMS(배송 관리 시스템), SCM(공급망 관리)
2. OMS(주문 관리 시스템 / Order Management System)
- 전산을 통해 주문된 상품 현황 파악, 결제 확인, 배송, 주문취소, 반품 등을 처리하는 시스템
- 주문 가능한 제품의 실시간 재고 파악, 입고 예정일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음
EX.
- 입고 주문 관리 : 입고 주문 등록, 입고 주문 현황
- 출고 주문 관리 : 출고 주문 등록, 출고 주문 현황
- 발주 할당 관리 : 발주량 산정, 할당
- 주문 마감 관리 : 주문 마감 등록, 주문 마감 현황
- 반품 관리 : 반품 등록 및 현황 조회
- 재고 관리 : 센터별/상품별 재고 조회
3. WMS(창고 관리 시스템 / Warehouse Management System)
- 물류센터 내부 과정인 입고, 재고, 피킹, 출고 등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시스템
- 물류센터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전 과정을 데이터화 시켜 복잡한 창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
- 자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입고 및 출고 과정에 대한 오류 감소, 업무량 감소
EX.
- 입고 관리 : 입고 관리, 검품/검수, 적차 관리, 반품 관리
- 출고 관리 : 할당/출하 계획, 검품/검수, 피킹 작업, 상차 처리
- 재고 관리 : 재고 이동, 재고 조사, 재고 조정, 재고 보류, 재고 이전, 재고 보충
4. TMS(배송 관리 시스템 /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 운송 수단 배정, 운송 일정 계획 및 배송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 배차 시스템이라고 함
- 고객 주문 정보를 바탕으로 운송 계획이 수립된 후 물류 활동이 진행되기 위하여 운송 수단을 직접 배정하고, 일정 계획 및 배송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 배송 중인 차량의 위치 추적, 소요시간 등을 관리하여 배차와 배차된 경로 최적화
- 배송관리는 세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배차시간 및 비용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 TMS 시스템을 통하여 최적화된 배차 계획으로 운송비 절감을 이루고, 수/배송 프로세스 전체 과정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음
EX.
- 운송 오더 관리 : 오더 수신, 오더 속성 분류
- 운송 계획 관리 : 운송 계획
- 운송 실행 관리 : 운송 요청, 입/출하 명령 지시, 스마트폰 출/도착 관리
- 운송 실적/정산 관리 : 차량 운행 정보, 기간별 계획/실적 관리, 상차정보 확인, 운행정보 확인
5. SCM(공급망 관리 / Supply Chain Management)
- 원재료 구매부터 최종 고객까지 전체적인 물류 흐름을 계획하고 실시, 통제하는 관리 기법
- 물류가 이루어지기 위한 전략 기법
- 위에 설명한 용어들을 진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
- 기업 내부 시스템을 공급자와 고객 등의 외부 시스템과 통합하여 비용 절감과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 달성하기 위한 관리
* 출처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451026&memberNo=521837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