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커머스 시스템과 정책

회원 모듈 : 포인트

회원 자산 (포인트)

 

1. 역할

 

- 선불전자지급수단 : 고객이 충전하여 사용하는 금액 (간편페이)

- 구매에 대한 리워드

 

 

2. 회원 자산의 구분

 

1) 단일 마일리지

- 단일 사용처이거나 10개 미만의 가맹점일 경우 → 선불전자지급수단 등록 불필요

- 총 발행 잔액 30억 원 이하

- 무상 충전된 경우

 

2) 선불전자지급수단

- 10개 이상의 가맹점일 경우 (ex. 오픈마켓) → 선불전자지급수단 사업자 등록 필수

- 총 발행 잔액 30억 원 이상

- 고객이 직접 충전한 경우

cf) 타사 포인트(OK캐시백, CJ포인트 등)만 쓸 경우 선불전자지급수단 등록 불필요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에게 마케팅성으로 1000포인트를 지급했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A가 직접 10000원을 충전해서 11000포인트가 되면 10000포인트는 현금성, 1000포인트는 마케팅성이 된다.

이때 A가 직접 충전한 10000포인트를 선불전자지급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에서 페이 잔액이 0원인데 자동으로 만 원 단위씩 충전을 시켜 이체를 할 수 있게 하는 것,

계좌에 있는 돈을 페이머니로 바꾸는 과정이 바로 선불전자지급수단으로 변경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3. 포인트의 속성

 

1) 현금성 포인트

- 현금영수증 처리 필요

- 단, 선불식전자사업자의 포인트는 건별 현금영수증이 아닌 연말정산 신고 방식으로 전환

 

2) 환급가능 포인트

- 유가증권 변경 포인트(잔액 20% 이하 남았을 경우)  *2020년 이후 신유형상품원은 40% 이하

cf) 환불된 미환불 예치금은 그대로 결제수단으로 사용 불가. 포인트로 전환 후 사용 가능

 

3) 마케팅성 포인트

- 현금영수증 처리 불필요

- 환불되지 않는 포인트 → 할인 에누리로 취급. 기한 도래 시 소멸 처리

 

 

cf) 오픈마켓의 판매자 정산 포인트 : 대다수 PG와 선불식 전자지급수단이 모두 있을 경우에 구현함

1) 판매자의 에스크로 돈을 선불식 전자 지급 수단으로 변경 - 선불식 전자지급 수단으로 해야 가능 (총 발행잔액 기준 때문)

2) 판매자 정산 예치 포인트 사용 목적 : 다음 정산 시 차액 상계 처리 수단이기 때문 - PG 역할이 있어야 처리 가능

 

 

 

 

회원 자산 포인트 시스템 기획 시 체크 포인트

 

1. 포인트 유형관리와 지급관리를 구분할 것인가?

 

1) 포인트 유형관리 : 유형 관리를 통해서 지급 예산 설정과 용도를 기입

2) 포인트 지급관리 : 여러 가지 유형을 묶어서 한 번에 지급대상을 정하고 지급을 기록 관리 (사용 가능 기간, 지급방식 등 설정)

 

 

 

2. 포인트 사용 우선순위, 환불 우선순위

 

프론트에서 볼 때는 5000포인트가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백 단에서는 포인트가 지급된 유형에 따라 여러 항목이 조회된다.

따라서, 고객이 포인트를 사용하면 동일한 양의 항목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소멸되는 포인트의 우선순위도 체크해줘야 한다.

반대로 고객이 포인트를 사용하여 결제했다가 환불을 했을 경우에도 우선순위를 체크해줘야 한다.

 

1) 백 단에서 포인트의 사용 리스트는 총액이 아니라 유형*지급으로 쌓임. 고객에게는 총액만 노출시켜주는 것.

2) 포인트 사용 우선순위의 예시 : 유효기간 짧은 순, 충전 포인트 순, 마케팅성 포인트순, 환불성 포인트순 (그 외 예외처리 가능)

 

 

 

3. 자사 외 외부 포인트도 사용할 것인가? 

 

1) 별도 연동하여 사용처리 : CJ ONE 포인트, 해피포인트, 통신사 포인트, OK캐시백 등

2) 간편 페이 내 포인트 복합 사용 :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