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누리와 판관비
에누리 : 판매자가 의도를 가지고 할인을 해주는 것
판관비 : 상품을 판매하거나 관리하는 데에 드는 제반 비용
통신판매업자와 통신판매중개업자의 수익과 할인 범위
구분 | 직매입 | 위탁 | 중개 |
수익구조 | 마진 | 마진 이익 총액의 수수료, 총 매출의 수수료 |
거래액에 대한 수수료 (거래액 기준 : 등록 판매가 or 실 결제가) |
공급처의 할인 방식 | 원가할인(세일) *에누리 쉐어 불가 |
원가할인(세일) *에누리 쉐어 최대 50% |
등록 판매가 차감(즉시할인) *100% 공급 판매자 부담 |
플랫폼사 주문 내 할인 가능 범위 | 마진 내에서 할인 (역마진 제어) |
마진 내에서 할인 (역마진 제어) |
사실상 무관 에누리 쉐어 비중 조절 가능 (오픈마켓 보통 60% 판매자 부담) |
플랫폼사 주문 외 할인 방법 (판관비로 할인) |
플랫폼사의 비용으로 고객 할인액 할인. 플랫폼사 100% 부담 (단, 뒤에서 서로 부담하는 별도 계약은 가능) |
할인의 순차 설계 방법
1) 곱연산과 합연산
할인 차수가 많아지면 어떻게 금액을 계산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판매가 | 1차 에누리 | 2차 에누리 (중복 할인) | |
나이키 운동화 | 100,000 | 10% 할인 → 90,000 | 10% 중복 할인 → 81,000 * 곱연산 적용 |
아디다스 운동화 | 100,000 | 10% 할인 → 90,000 | 10% 중복 할인 → 80,000 * 합연산 적용 |
곱연산은 1차 에누리가 적용된 후, 1차 에누리 금액을 기준으로 추가 할인이 적용되는 것을 말한다.
합연산은 1차 에누리가 적용된 후, 1차 에누리 금액이 아닌 판매가를 기준으로 추가 할인이 적용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곱연산보다 합연산으로 처리하는 것이 할인액이 커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이득이지만 실제 시스템에서는 곱연산을 사용한다.
가끔 합연산을 쓰는 경우가 종종 있다. 동일 브랜드 상품 여러 개 구매 시 적용 가능한 할인 쿠폰을 적용하여 여러 개의 상품을 구매한 뒤에 나중에 부분 취소와 같은 이유로 금액이 자꾸만 흔들릴 때, 아예 따로 관계를 가져가고자 합연산을 사용하기도 한다.
2) 판매자 할인 → 플랫폼 할인 순으로 설계
- 판매자 할인 : 에누리
- 플랫폼 할인 : 플랫폼에서 발행하는 쿠폰
3) 상품 할인 → 장바구니 할인 순으로 설계
- 상품 할인 : 해당 상품에만 해당하는 할인
- 장바구니 할인 : 여러 개의 상품을 기준으로 해당하는 할인
(보통 적용 기준액 합산인 경우가 많음. 판매처별 비율로 나누면 돈이 1원 단위 혹은 그보다 작은 단위로 남기 때문에 총액으로 하는 편)
4) 동시 비적용 차수 기획
예를 들어, 임직원 할인이 있을 경우 다른 쿠폰은 중복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등, 예외사항에 대한 정책이 필요하다.
할인 쿠폰 시스템의 구성
1. 즉시할인(세일)
즉시할인은 상품 상세 관리에서 판매자가 직접 가격할인을 등록하는 방식이다.
매입가 1000원 / 판매가 5000원이라고 가정해보자. 이때 마진은 4000원이다.
1) 매입가 고정 + 판매가 하락 → 마진을 줄여 할인
매입가는 1000원으로 두고 판매가를 3000원으로 낮춰서 2000원의 마진을 얻는다.
2) 매입가 하락 + 판매가 하락 → 마진율을 유지하고 가격 낮춤
매입가를 800원으로 낮추고 판매가도 3000으로 낮춰서 2200원의 마진을 얻는다. (매입가를 함께 낮춤으로써 마진율을 유지할 수 있음)
3) 매입가가 없는 경우(중개)
판매자 에누리 → 자동 적용 쿠폰처럼 노출해도 무방함
2. 상품할인쿠폰 생성
1) 쿠폰 유형 관리
- 쿠폰 유형 및 예산 등록
이벤트의 종류, 어떤 쿠폰을 만들 것인지(정액/정률), 필요한 예산이 얼마인지 - 적용 기준
쿠폰 적용 대상 상품/브랜드, 기존 결제자/신규 결제자, 거래처, 기준금액(N만원 이상), 최대 할인액(최대 N원),
지급 횟수(무제한/1번), 사용기한(발행 이후 N일간/기간) - 쿠폰 발급 중단 기능
예산 초과가 일어나지 않게 90% 정도에 예산 도달했을 때 지급 정지를 시키는 알림 시스템
왜 90%? 아직 사용하지 않은 쿠폰이 있기 때문에 그것까지 감안하여 설계 - 쿠폰 적용 기준은 후에 클레임 처리의 기준이 됨
2) 쿠폰 지급 관리
- 지급 실행
다운로드 : 이벤트 페이지 필요
자동지급 : 지급 기준 설정 필요
수동지급
난수생성번호입력 : 연계 이벤트 진행할 때 사용, 마이페이지에서 쿠폰번호 입력하면 쿠폰 발행되는 시스템 (요즘엔 잘 사용하지 않음) - 유형 지급단위별 지급 및 사용액 추적
- 미사용 지급 회수
- 지급 중단 : 사용액이 유형별 예산의 특정 비율 이상 초과 시 자동 중단
'이커머스 시스템과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송비 모듈 : 개념, 할인, 설정 (0) | 2022.01.21 |
---|---|
주문-가격의 관계 : 장바구니 쿠폰 (0) | 2022.01.20 |
선불전자지급수단 (0) | 2022.01.15 |
회원 모듈 : 포인트 (0) | 2022.01.06 |
회원 모듈 : 회원 약관 (0) | 2022.01.06 |